MY MENU

I. 논문작성 일반

  • 1. 원고는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으로 작성함을 원칙으로 하되,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예외의 경우도 가능하다.

  • 2. 원고는 다음의 순서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논문제목
    논문의 저자 성명(소속 및 직위 기재)
    논문 목차
    본문 (주요 단락의 표기는 I. 1. 1), ①의 순서대로 한다.)
    주제어(Keywords)
    참고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 3. 원고의 양은 논문 템플릿 기준으로 25쪽에서 최대 35쪽 이내로 제한한다. 최종 PDF파일이 25쪽을 초과할 시에는 쪽당 1만원의 추가 비용을 부담한다. 국문초록은 200자 원고지 3-4매, 영문(외국어) 초록은 200단어(words) 내외로 한다.

  • 4. 본문에 나오는 학술용어는 가능한 한 한글로 쓰고 원어는 괄호 안에 표기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예) 차용(appropriation)

  • 5. 주요 부호의 사용은 다음을 따른다.
    • 1) 자주 사용하는 표기 및 부호
      • 책 제목: 한글은 『 』, 영문은 이탤릭체
      • 논문 제목: 한글은 「 」, 영문은 “ ”
      • 강조 또는 주요개념: ‘ ’
      • 인 용 문: “ ”
      • 작품 제목:〈 〉
      • 표와 도판: (표 1) (도판 1)
      • 논문 작성 양식
      • 전시회:《 》
      • 인용문 줄임표: … (점 세 개) 예) 성공적이었으나… 유명해지지는 못하였다.

    • 2) 마침표는 괄호 삽입의 경우 문장과 괄호가 다 끝난 후에 찍는다.
      예) 그녀의 여성주의적인 입장을 엿볼 수 있다(도판 20).

    • 3) 연도와 페이지 수를 표기할 때, 되도록 전체연도나 페이지 수를 다 명기한다.
      예) 1920-1930년대, pp. 145-157.

  • 6. 외국어 표기
    • 1)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된소리를 쓰지 않는다.
      예) 교또(×), 교토(○), 빠리(×), 파리(○)

    • 2) 외국어를 한국어로 읽을 때, ㅈ, ㅊ, ㅉ은 이중 모음(ㅕ, ㅑ, ㅛ, ㅠ, ㅒ, ㅖ)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예) 쥬스(×), 주스(○), 챠트(×), 차트(○), 교또(×), 교토(○)

  • 7. 모든 표 및 도판에는 해당번호와 설명을 붙여야 한다. 도판 설명은 작가명, 제목, 제작연도, 재료, 크기, 소장처 순서로 표기하고 마침표로 끝을 맺는다. 도판 설명의 모든 사항은 되도록 한글로 표기하고 필요한 경우에 영문을 추가로 괄호 안에 삽입하여 병기한다. 또한 작품 규격 표기는 cm를 원칙으로 한다.
    예) 앤디 워홀,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1962-1967, 실크스크린, 65×65 cm, 뉴욕현대미술관(MoMA).

  • 8. 본문의 마지막 부분에 논문의 주제어(Keyword)를 각각 5-7개 정도씩 한글과 괄호 속의 영문으로 첨부한다.
    예)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II. 각주 달기

  • 1. 각주는 문장의 오른편 상단에 일련번호를 붙여 표시하되 그 내용은 각 면 아래 부분에 작성한다. 인용출처는 저자, 문헌명, 도시명: 출판사, 출판연도, 페이지 순서로 표기한다. 경우에 따른 예들은 다음과 같다.

    • 1) 단행본의 경우
      김복영, 『눈과 정신: 한국현대미술이론』, 서울: 한길아트, 2006, p. 31.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1900년대 도입과 정착에서 오늘의 단면과 상황까지』, 증보2판, 파주: 열화당, 2021, p. 201.
      마이클 러시, 『뉴미디어 아트』, 심철웅 (역), 서울: 시공사, 2003, p. 13.
      이일, 『비평가, 이일 앤솔로지 (상)』, 정연심 외 (편), 서울: 미진사, 2013, pp. 99-101.
      W.J.T. Mitchell, What Do Pictures Want? The Lives and Loves of Images
      (Chicago and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p. 204.
      Hal Foster et al., Art Since 1900: Modernism, Antimodernism, Postmodernism, 2nd ed. (London: Thames & Hudson, 2011), p. 113.
      Giorgio Agamben, Homo Sacer: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trans. Daniel Heller-Roaze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pp. 97-98.

    • 2) 편저에 실린 글인 경우
      서유리, 「대중과 만나 변혁을 꿈꾼 카프 미술운동」, 국립현대미술관 (편), 『한국미술 1900-2020』, 국립현대미술관, 2021, pp. 43-44.
      Henry David Thoreau, “Walking,” in The Making of the American Essay, ed. John D’Agata (Minneapolis: Graywolf Press, 2016), pp. 177–178.

    • 3) 전자책의 경우
      진경아, 『매체 미학과 영상 이미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제4장, 전자책: 리디.
      Jane Austen, Pride and Prejudice (New York: Penguin Classics, 2007), chap. 3, E-book: Kindle.

    • 4) 전시도록의 경우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전시도록, (재)광주비엔날레, 2023, pp. 180-181.
      이숙경, 「차이 속에서 함께 살기」,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전시도록, (재)광주비엔날레, 2023, p. 14.
      Matthew S. Witkovsky, ed., Sarah Charlesworth: Stills, exh. cat. (Chicago: Art Institute of Chicago, 2014), p. 5.
      Lewis Biggs, “Working with Nature,” in Working with Nature: Traditional thought in contemporary art from Korea, exh. cat. (Liverpool: Tate Gallery Liverpool, 1992), p. 8.

    • 5) 학위 논문의 경우
      김욱, 「중국 미디어 아트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적용과 새로운 시각화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p. 67.
      Michaëla Norah De Lacaze, “Populist Counter-Spectacles and the Inception of Mass Media Art in Argentina: Marta Minujín’s Happenings, Performances, and Environments of the 1960” (PhD diss., Columbia University, 2019), pp. 188-189.

    • 6) 학술지 논문의 경우
      진태원, 「생명정치의 탄생-미셸 푸코와 생명 권력의 문제」, 『문학과 사회』, vol. 19, no. 3 (2006), p. 227.
      Walter Blair, “Americanized Comic Braggarts,” Critical Inquiry, vol. 4, no. 2 (1977), pp. 331-332.
      Malcom Foley and Gayle McPherson, “Museum as Leisure,”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vol. 6, no. 2 (2000), pp. 161-163, https://doi.org/10.1080/135272500404205.

    • 7) 정기간행물에 실린 글의 경우
      안소연, 「창조의 원동력으로서의 ‘구속’」, 『월간미술』, 2005년 11월, p. 107.
      김복진, 「신흥미술과 그 표적」, 『조선일보』, 1926년 1월 2일.
      Harold Rosenberg, “The American Action Painters,” Artnews, December 1952, p. 22.
      Boris Groys, “Curating Immortality,” e-flux, June 2023, https://www.e-flux.com/journal/137/543261/curating-immortality/ (2023년 8월 20일 접속).

    • 8) 인터뷰나 사적 대화의 경우
      임명진, 정연심과의 인터뷰, 경기도 용인시 임명진 자택, 2023년 2월 7일.
      윤진섭, 조수진과의 전화 인터뷰, 2017년 12월 18일.

    • 2. 각주에서 반복되는 문헌 표기

    • 1) 동일한 문헌이 바로 앞에 인용된 경우의 예
      앞 글, p. 3.
      앞 책, p. 3.

    • 2) 동일한 문헌이 인용되었으나 바로 앞에 나오지 않은 경우의 예
      홍길동 (1995), p. 33.
      John Lewis (1997), p. 3.
      John Lewis and Paul Chan (2003), p. 3.

    • 3) 인터뷰의 경우 인터뷰 대상자의 이름을 먼저 표기
      예) 임명진과 정연심 (2023)

    • 4) 저자가 단체이거나 정하기 어려운 경우
      예)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를 진단한다」, 2004, p. 3.

    • 5) 페이지 번호가 없는 경우
      예) 『미니멀리즘』, 2004.
      Minimalism, 2004, n.p.

III. 참고문헌 작성

  • 1. 본문과 장을 달리하여 참고문헌 목록을 첨부한다. 참고문헌은 본문의 각주에서 인용한 자료에 한정됨을 원칙으로 한다.

  • 2. 한글 문헌과 외국어 문헌을 구분하여 각각 가나다순과 알파벳순으로 작성한다. 문헌의 내용은 저자, 문헌명, 역자명 (역), 도시명: 출판사, 출판연도 순서로 표기 한다. 서양 문헌의 경우 저자명 뒤와 문헌명 뒤에 마침표를 찍는다.

  • 3. 논문, 기사, 인터뷰 등은 따로 분류하지 않고 한글, 외국어에 따라서만 분류한다.

  • 4. 단행본, 외국서적, (편)저자의 이름은 가나다 순이나 알파벳 순으로 정리한다. 외국서적의 경우 참고문헌에서는 성과 이름의 위치를 바꾸어 정리한다.

    • 1) 단행본의 경우
      김복영, 『눈과 정신: 한국현대미술이론』, 서울: 한길아트, 2006.
      오광수, 『한국현대미술사: 1900년대 도입과 정착에서 오늘의 단면과 상황까지』, 증보2판, 파주: 열화당, 2021.
      마이클 러시, 『뉴미디어 아트』, 심철웅 (역), 서울: 시공사, 2003.
      이일, 『비평가, 이일 앤솔로지 (상)』, 정연심 외 (편), 서울: 미진사, 2013.
      Mitchell, W.J.T.. What Do Pictures Want? The Lives and Loves of Images,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Foster, Hal, Rosalind Krauss, Yve-Alain Bois, and Benjamin Buchloh. Art Since 1900: Modernism, Antimodernism, Postmodernism. 2nd ed.. London: Thames & Hudson, 2011.
      Agamben, Giorgio. Homo Sacer: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Translated by Daniel Heller-Roaze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 2) 편저에 실린 글인 경우
      서유리, 「대중과 만나 변혁을 꿈꾼 카프 미술운동」, 국립현대미술관 (편), 『한국미술 1900-2020』, 국립현대미술관, 2021, pp. 43-52.
      Thoreau, Henry David. “Walking.” In The Making of the American Essay, edited by John D’Agata, pp. 167–195. Minneapolis: Graywolf Press, 2016.

    • 3) 전자책의 경우
      진경아, 『매체 미학과 영상 이미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전자책: 리디.
      Austen, Jane. Pride and Prejudice. New York: Penguin Classics, 2007. E-book: Kindle.

    • 4) 전시도록의 경우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전시도록, (재)광주비엔날레, 2023.
      이숙경, 「차이 속에서 함께 살기」,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전시도록, (재)광주비엔날레, 2023, pp. 10-23.
      Witkovsky, Matthew S., ed. Sarah Charlesworth: Stills. Chicago: Art Institute of Chicago, 2014. Exhibition catalog.
      Biggs, Lewis. “Working with Nature.” In Working with Nature: Traditional thought in contemporary art from Korea, pp. 8-13. Liverpool: Tate Gallery Liverpool, 1992. Exhibition catalog.

    • 5) 학위 논문의 경우
      김욱, 「중국 미디어 아트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적용과 새로운 시각화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De Lacaze, Michaëla Norah. “Populist Counter-Spectacles and the Inception of Mass Media Art in Argentina: Marta Minujín’s Happenings, Performances, and Environments of the 1960.” PhD diss., Columbia University, 2019.

    • 6) 학술지 논문의 경우
      진태원, 「생명정치의 탄생-미셸 푸코와 생명 권력의 문제」, 『문학과 사회』, vol. 19, no. 3 (2006), pp. 216-237.
      Blair, Walter. “Americanized Comic Braggarts.” Critical Inquiry, vol. 4, no. 2 (1977), pp. 331-345.
      Foley, Malcom, and Gayle McPherson. “Museum as Leisure.”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vol. 6, no. 2 (2000), pp. 161-170. https://doi.org/10.1080/135272500404205.

    • 7) 정기간행물에 실린 글의 경우
      안소연, 「창조의 원동력으로서의 ‘구속’」, 『월간미술』, 2005년 11월, pp. 105-107.
      김복진, 「신흥미술과 그 표적」, 『조선일보』, 1926년 1월 2일.
      Rosenberg, Harold. “The American Action Painters.” Artnews, December 1952, pp. 22-23.
      Groys, Boris. “Curating Immortality.” e-flux, June 2023. https://www.e-flux.com/journal/137/543261/curating-immortality/ (2023년 8월 20일 접속).

    • 8) 인터뷰나 사적 대화의 경우
      임명진, 정연심과의 인터뷰, 경기도 용인시 임명진 자택, 2023년 2월 7일.
      윤진섭, 조수진과의 전화 인터뷰, 2017년 12월 18일.

IV. 기타 표기

  • 1. 웹사이트의 경우 괄호 안에 연구자가 마지막으로 접속한 날짜를 표기한다.
    예) www.institution.org (2012년 3월 4일 접속).
    ~의 홈페이지 www.homepage.com (2012년 3월 4일 접속).
    * 되도록‘ 접속’이라는 용어를 통일해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
    그 외에 책의‘ 참고‘’ 참조’의 경우에도 통일해서 작성하는 것이 원칙.

  • 2. 국제적으로 유명한 미술관이나 출판사 표기의 통일
    London: The Tate Modern.
    Bilbao: Guggenheim Museum of Art.
    Cambridge, MA: MIT Pres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Los Angeles an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Missouri, KA: Kansas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부 칙

이 규정은 부칙 이 규정은 2013. 4. 13부터 효력을 발생한다.

2016년 8월 27일 제 1차 개정
2018년 10월 30일 제 2차 개정
2019년 11월 30일 제 3차 개정
2021년 3월 27일 제 4차 개정
2022년 4월 21일 제 5차 개정
2023년 8월 31일 제 6차 개정